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심리학]무의식 파헤치기-프로이트 이론 중심으로

by 비아T 2023. 2. 20.
728x90
반응형

인간의 마음 속 깊이 자리 잡고 있는 무의식이란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 삶에 있어서 얼마나 큰 영향력을 행사할까? 프로이트 이후 현대 심리학에서는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실제 상담 현장에선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보자.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1895년 『꿈의 해석』을 출간하면서 본격적으로 무의식 이론을 정립했다. 의식 아래 감춰진 영역인 무의식에는 억압된 욕망과 충동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특히 성적 욕구와 공격 본능이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관점은 훗날 아들러나 융에게도 계승되어 오늘날까지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다만 시대가 변하면서 기존과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가령 칼 구스타프 융은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을 구분하여 전자에만 초점을 맞췄던 프로이트와는 달리 후자 쪽에 더 무게를 두었다. 반면 알프레드 아들러는 사회적 요인을 강조했는데 열등감 콤플렉스라는 개념을 통해 모든 행동의 근원엔 열등감이 있다고 주장했다. 물론 아직까지는 여전히 프로이트의 학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변화의 조짐이 보이는 만큼 향후 연구 방향이 주목된다.

728x90
반응형